건강한 습관, 건강한 삶

안녕하세요 건강 정보를 책임지는 블로그입니다.

  • 2025. 4. 8.

    by. 건강한하루씨

    목차

       

      메타 설명

      CRRT는 일반적인 혈액투석과는 다른, 중환자를 위한 맞춤형 신장 대체 치료입니다. 이 글에서는 CRRT 치료의 목적, 적응증, 치료 방식, 주의사항까지 실제 임상에서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정리했습니다.


      CRRT 치료란 무엇인가?

      CRRT는 **지속적 신대체요법(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)**의 약자로, **중환자실(ICU)**에서 시행되는 특수한 형태의 투석 치료입니다. 일반적인 혈액투석(HD)이 짧은 시간 동안 빠르게 체내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는 반면, CRRT는 24시간 이상 천천히 지속적으로 진행됩니다.

      이 치료는 주로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, 즉 혈압이 낮거나 심장 기능이 떨어진 중환자에게 시행됩니다.


      어떤 환자에게 CRRT 치료가 필요한가?

      CRRT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환자들에게 시행됩니다.

      • 급성신부전(AKI) 발생 환자
      • 혈압이 낮아 일반 혈액투석이 불가능한 경우
      • 패혈증, 다장기부전, 중증 화상 등으로 체내 대사물질 제거가 필요한 경우
      • 체액 과다 상태로 인한 폐부종, 심한 부종이 있는 경우
      • 중추신경계 손상과 관련된 뇌압 조절이 필요한 경우

      즉, CRRT는 단순히 ‘신장 기능 대체’ 그 이상으로, 체액 및 전해질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, 장기 기능을 보조하기 위한 치료입니다.


      CRRT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나?

      치료 방식

      CRRT는 투석기(필터), 펌프, 체외순환 회로, 전해질 용액 등으로 구성된 장비를 통해 24시간 또는 그 이상 동안 지속적으로 혈액을 정화합니다.

      • 혈관 접근: 주로 중심정맥 카테터(내경정맥 또는 대퇴정맥)를 통해 접근
      • 혈류 속도: 일반 혈액투석보다 훨씬 낮은 속도 (100~200ml/min 수준)
      • 투석액과 초여과액: 전해질 조절 및 노폐물 제거를 위해 사용

      치료 시간

      • 24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시행되며, 환자 상태에 따라 수일간 유지됨
      • 일부는 하루 12~18시간 간헐적으로 시행되기도 함

      CRRT 치료와 일반 투석의 차이점

      구분일반 혈액투석(HD)CRRT
      치료 대상 비교적 안정한 환자 중환자 (혈압 불안정 등)
      치료 시간 3~4시간, 주 3회 24시간 이상 지속
      혈류 속도 빠름 (200~400ml/min) 느림 (100~200ml/min)
      혈압 영향 혈압 저하 위험 있음 혈압 안정성 확보 용이
      적용 장소 외래 또는 병동 중환자실(ICU)

      CRRT 치료의 장점과 주의점

      장점

      • 혈압 저하 최소화: 느린 속도의 체액 제거
      • 중환자 맞춤 치료 가능: 뇌압 조절, 전해질 교정 등 세부 조절 용이
      • 체내 항상성 유지에 유리

      주의할 점

      • 항응고제 사용 필요: 혈액 응고 방지를 위한 약물 사용 → 출혈 위험 동반
      • 필터 막힘 주의: 투석기 필터가 자주 막힐 수 있어 모니터링 필수
      • 간호 인력 집중 소요: 지속적인 장비 관리와 환자 상태 체크 필요

      CRRT 치료 중 흔히 나타나는 합병증

      1. 출혈: 항응고제 사용으로 인한 위장관, 뇌출혈 위험
      2. 전해질 불균형: 저칼슘혈증, 저인산혈증 등 발생 가능
      3. 혈압 변동: 드물게 저혈압 발생 가능
      4. 감염: 중심정맥관을 통한 감염 가능성
      5. 혈액 응고로 인한 회로 폐쇄

      이러한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치료 중 실시간 모니터링과 숙련된 의료진의 대응이 중요합니다.


      CRRT 치료 후 신장 기능은 회복될 수 있을까?

      CRRT는 일시적인 신장 기능 대체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,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신장 기능이 회복될 수도, 지속적인 투석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.

      • 급성신부전 환자의 경우, 수일~수주 내 기능 회복 가능
      • 만성신부전 이환 환자라면, CRRT 종료 후 혈액투석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음

      정확한 예후는 기저 질환, 연령, 치료 반응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.


      CRRT 치료를 받는 보호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

      • CRRT는 일반 투석과 다르게 단기간 내 효과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을 수 있음
      • 체액 균형 조절, 뇌압 관리, 전해질 교정을 목표로 하는 다기관 치료 전략의 일부
      • 장비 문제나 환자 컨디션 변화로 인해 치료 시간이 조정되거나 중단될 수도 있음
      • 의료진의 설명을 정기적으로 듣고, 환자의 현재 목표 치료 상태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

      지금 꼭 확인해야 할 한 가지

      의료진에게 ‘CRRT 치료의 종료 기준’과 ‘신장 기능 회복 가능성’에 대해 반드시 질문하세요.
      CRRT는 응급 대응 치료가 아닌, 의학적 판단 하에 시행되는 목표 지향적 치료법입니다.
      치료가 언제 종료될 수 있는지, 회복 후 일반 혈액투석으로 전환이 필요한지를 파악해야
      환자와 보호자가 치료 과정 전체를 계획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.